대한민국 군인 계급, 군대 계급별 보직. 미국, 일본, 북한 군인 계급.
태양의 후예를 보신 분들은 유시진 대위, 서대영 상사를 통해 대위와 상사라는 계급에 대해서는 군대를 갔다오지 않았더라도 상당히 친근하게 느끼실거라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은 징병제를 택하고 있는 국가이기에 성인 남성이라면 기쁜 마음으로 국방의 의무를 할 수 있음에 감사하며 군대를 다녀오게 됩니다.
군대를 가면
- 총 쏘는 법도 배우고
- 체력도 좋아지고
- 단체 생활을 미리 체험해서 사회 적응력도 길러지고
- 먹여주고 재워주고 월급도 주고……..
- 군필자라는 대접도 받게 해주고…….
- 재입대를 하는 아름다운 꿈도 꾸게 해주고…..
등등의 장점이…………. 아오 다시 생각해도 열받네요. 내 꽃다운 20대.
저딴거 다 필요없으니 모병제 국가로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대한민국은 힘 있고 빽 있는 놈들은 다들 군대를 빼고, 돈 없고 빽 없는 사람들만 가는 곳인 것 같습니다. 실제로 사회 지도층이라고 거들먹 거리는 것들 중에 군대를 뺀 놈들이 많죠.
군대의 빡침에 대해 얘기를 하자면 끝이 없을 것 같기에 잡설은 이만 줄이기로 하고, 오늘 포스팅에서는 군인 계급에 대해 소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군인 계급, 계급별 보직.

먼저 대한민국 군인 계급 및 계급별로 주로 어떤 보직을 맡게 되는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대 규모나 특성에 따라 맡는 보직 등은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 일반병 : 이등병, 일등병, 상등병, 병장
- 부사관 : 하사, 중사, 상사, 원사
- 준사관 : 준위
- 위관 : 소위, 중위, 대위
- 영관 : 소령, 중령, 대령
- 장성 : 준장, 소장, 중장, 대장, 원수
위와 같이 나뉘는데요. 대한민국의 경우 군인사법상에는 원수라는 계급이 있지만, 원수로 진급한 사례는 없습니다.
계급별 보직.
계급별로 주로 어떤 보직을 맡게 되는지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소위: 갓 임관한 장교로, 소대 규모의 병력을 지휘하는 소대장 임무를 주로 수행합니다.
- 중위: 소대장 임무를 숙련되게 수행하거나, 부소대장, 혹은 대대급 참모의 역할을 맡기도 합니다.
- 대위: 중대 규모의 병력을 지휘하는 중대장, 혹은 대대급 참모나 연대급 참모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 소령: 대대급 부대의 지휘관인 대대장, 혹은 연대/여단급 참모의 주요 보직을 맡습니다. 해군의 경우 소형 함정을 지휘하는 함장이 될 수 있습니다.
- 중령: 연대 또는 전대급 부대의 지휘관, 중형 함정의 함장, 비행단의 작전처장 등 주요 지휘관 및 참모 역할을 수행합니다.
- 대령: 연대/전대장, 대형 함정/전단장, 비행단장 등 부대 지휘관이나 사단급 참모의 실/처장, 국방부/합참/각 군 본부의 과장 직책을 맡습니다.
- 장관급 장교: 군의 주요 직위인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각 군 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등의 지휘관 및 참모 직책을 수행합니다.
위에서 잠시 말씀드린 것처럼 부대 규모, 임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중대장은 오늘 너희에게 실망했다.“
는 유명한 밈을 남긴 중대장을 보통 대위가 맡습니다. 프로 실망러라고도 하죠.
또한 하사가 부분대장 등을 한다고 쓰긴 했지만, 현실적으로 일반 병사가 분대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일반적으로, 직제상 이렇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좋을 듯 하네요.
미국, 일본, 북한의 군대 계급.

해외의 경우 군대 계급이 어떻게 나뉘는지에 대해 제미나이를 시켜 정리를 좀 해봤습니다.
한국군과 대비를 시켜봤는데, 최대한 간단히 정리를 하려고 표로 만들었더니, 오히려 보기 불편하실 수도 있을 듯 하네요.
대략 이렇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합니다.
미국, 일본, 북한 군대 계급 비교
대한민국 (ROK) | 미국 (U.S.) | 일본 (Japan Self-Defense Forces) | 북한 (DPRK) |
---|---|---|---|
이병 | Private (PVT) | Private (士) | 이등병 (二等兵) |
일병 | Private First Class (PFC) | Private First Class (士長) | 일등병 (一等兵) |
상병 | Corporal (CPL) / Specialist (SPC) | Corporal (伍長) | 상등병 (上等兵) |
병장 | Sergeant (SGT) | Sergeant (曹長) | 하전사 (下戰士) |
하사 | Staff Sergeant (SSG) | Sergeant First Class (三曹) | – |
중사 | Sergeant First Class (SFC) | Master Sergeant (二曹) | – |
상사 | Master Sergeant (MSG) / First Sergeant (1SG) | Senior Master Sergeant (一曹) | – |
원사 | Sergeant Major (SGM) / Command Sergeant Major (CSM) | Sergeant Major (准尉) ※준위 대우 | 특무상사 (特務上士) |
준위 | Warrant Officer (WO1-CW5) | Warrant Officer (准尉) | 준위 (准尉) |
소위 | Second Lieutenant (2LT) | Second Lieutenant (三尉) | 소위 (少尉) |
중위 | First Lieutenant (1LT) | First Lieutenant (二尉) | 중위 (中尉) |
대위 | Captain (CPT) | Captain (一尉) | 상위 (上位) |
소령 | Major (MAJ) | Major (三佐) | 소좌 (少佐) |
중령 | Lieutenant Colonel (LTC) | Lieutenant Colonel (二佐) | 중좌 (中佐) |
대령 | Colonel (COL) | Colonel (一佐) | 상좌 (上佐) |
준장 | Brigadier General (BG) | Major General (将補) | 소장 (少将) |
소장 | Major General (MG) | Lieutenant General (将) | 중장 (中将) |
중장 | Lieutenant General (LTG) | General (将) | 상장 (上将) |
대장 | General (GEN) | General (将) | 대장 (大将) |
원수 | General of the Army / Fleet Admiral / General of the Air Force | – | 원수 (元帥) ※명예 칭호 성격 강함 |
참고 사항.
- 미국: 계급 명칭이 한국과 다소 다르고, 부사관 계급이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Corporal과 Specialist는 동일 계급이지만 역할이 다를 수 있습니다. Warrant Officer는 특정 기술 분야의 전문가입니다.
- 일본: 자위대는 군대가 아닌 ‘자위대’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계급 명칭도 한자와 숫자를 조합한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준위는 장교와 부사관 사이의 독특한 계급입니다.
- 북한: 계급 명칭이 한국과 유사한 부분도 있지만, ‘하전사’, ‘특무상사’, ‘소좌’, ‘중좌’, ‘상좌’ 등 독자적인 명칭을 사용합니다. 원수는 전시 등에 수여되는 명예 칭호 성격이 강합니다.
- 비교: 최대한 유사한 역할과 지위를 기준으로 비교했지만, 각 군의 조직 구조와 역할 분담에 따라 정확히 일대일 대응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부사관 계급 체계는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캡틴 아메리카의 캡틴이 바로 한국의 대위 계급 정도의 직위입니다.
캡틴 아메리카도 같은 대위인데, 한국의 중대장과는 달리 실망을 자주 하지는 않는 것 같더군요 ㅎㅎ
이상 군대 계급과 계급별 보직 등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쓰다보니, 예전 군생활 할 때의 기억도 나고, 아주 기분이 안 좋아진 관계로 후딱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