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업체 순위, 알뜰폰 점유율.

알뜰폰 업체 순위, 알뜰폰 점유율.

2023년 국정감사 보고서에 통신 3사의 자회사가 알뜰폰 시장의 48%를 점유하면서 설립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뉴스가 나온 적이 있습니다.

저렴한 요금제와 공정한 경쟁을 목표로 시작된 알뜰폰 시장이 또 다시 그들만의 리그가 되었다는 비난에 직면했는데요.

이전 포스팅에서 알뜰폰의 장점, 단점 등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알뜰폰 업체의 점유율, 순위 등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많은 업체들이 난리하다보니, 알뜰폰이 저렴하다는 것은 알겠는데, 어떤 업체를 이용해야 할 지 고민이 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드네요.

✔️ 알뜰폰 장점 , 단점. 알뜰폰이란? 알뜰폰이 싼 이유. 통신 3사(skt, kt, lg u+)와 데이터 속도, 통화 품질 비교.

✔️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차이. 어떤게 유리할까? 유지비 계산

통신 3사 대비 알뜰폰 업체 점유율.

이전 포스팅에서 알뜰폰의 장점, 단점 등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알뜰폰 업체의 점유율, 순위 등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스마트폰 통신 시장에서 알뜰폰 업체들이 점유하는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8월 기준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SK텔레콤: 40.60%
  • KT: 23.61%
  • LG유플러스: 19.24%
  • 알뜰폰(MVNO): 16.54%​

알뜰폰 시장 내에서는 통신 3사의 자회사가 전체의 약 48%를 점유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단통법 폐지와 더불어 이 부분도 조금 개선이 되어야 할 듯 합니다.

대기업이라고해서 패널티를 주는 것은 그것 나름의 문제겠지만, 자본과 점유율, 기반 시설을 바탕으로 시장을 독점하는 폐해는 손을 봐야 할 것 같네요.

알뜰폰 업체 순위.

이전 포스팅에서 알뜰폰의 장점, 단점 등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알뜰폰 업체의 점유율, 순위 등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뜰폰 업체 순위

추후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곳들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인데, 먼저 간단하게 알뜰폰 업체들의 순위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위통신사비고
1KT엠모바일KT 자회사, 다양한 요금제 제공
2프리티 (FreeT)SKT, KT, LGU+ 망 지원, 경제적인 요금제 제공
3우체국 알뜰폰다양한 요금제 업체 비교 가능
4SK세븐모바일SKT 망 기반, 안정적인 통화 품질 제공
5리브모바일 (Liiv M)KB국민은행 제공, 다양한 할인 혜택
6헬로모바일LG유플러스 자회사, 다양한 요금제 운영
7스노우맨KT 자회사, 합리적인 요금제 제공
8에이모바일다양한 요금제와 프로모션 제공
9이지모바일다양한 요금제와 이벤트 제공
10머천드코리아다양한 요금제와 혜택 제공

위 자료는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통신 브랜드 평판 자료와 이코노미스트의 알뜰폰 점유율 기사를 기반으로 산정되었으며, 2024년 기준입니다.(정리는 chat GPT 놈이 했습니다.)

참고 정도만 해주시면 되겠네요.

일전 알뜰폰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소개해드릴 때, 간략하게 언급드리기는 했지만, 알뜰폰은 요금제가 저렴한 대신, 통화 품질, 데이터 속도는 떨어지는 편입니다.

거기에 덧붙여 고객센터와 통화할 일은 거의 없겠지만, 연결이 힘든 단점도 있습니다.(요건 통신 3사도 요즘 마찬가지인 듯하니, 딱히 알뜰폰만의 단점은 아니겠네요.)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하실 분들은 이런 점을 유념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알뜰폰 업체 점유율과 순위 관련 포스팅이었습니다.